본문 바로가기

The Things

[펌] 정말 산다는 것은..그리고 살아 있다는 것은...



[손석희 아나운서의 일기 중에서]


남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나는 내가 지각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학도 남보다 늦었고 사회진출도, 결혼도
남들보다 짧게는 1년, 길게는 3∼4년 정도 늦은 편이었다.

능력이 부족했거나 다른 여건이 여의치 못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모든 것이 이렇게 늦다 보니
내게는 조바심보다 차라리 여유가 생긴 편인데,
그래서인지 시기에 맞지 않거나 형편에 맞지 않는 일을
가끔 벌이기도 한다.

내가 벌인 일 중 가장 뒤늦고도 내 사정에 어울리지 않았던 일은
나이 마흔을 훨씬 넘겨
남의 나라에서 학교를 다니겠다고 결정한 일일 것이다.


1997년 봄 서울을 떠나 미국으로 가면서
나는 정식으로 학교를 다니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남들처럼 어느 재단으로부터 연수비를 받고 가는 것도 아니었고,
직장생활 십수년 하면서 마련해 두었던 알량한 집 한채 전세 주고
그 돈으로 떠나는 막무가내식 자비 연수였다.

그 와중에 공부는 무슨 공부.

학교에 적은 걸어놓되 그저 몸 성히 잘 빈둥거리다 오는 것이
내 목표였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졸지에 현지에서 토플 공부를 하고
나이 마흔 셋에 학교로 다시 돌아가게 된 까닭은
뒤늦게 한 국제 민간재단으로부터 장학금을 얻어낸 탓이 컸지만,
기왕에 늦은 인생, 지금에라도 한번 저질러 보자는 심보도 작용한 셈이었다.


미네소타 대학의 퀴퀴하고 어두컴컴한 연구실 구석에 처박혀
낮에는 식은 도시락 까먹고,
저녁에는 근처에서 사온 햄버거를 꾸역거리며 먹을 때마다
나는 서울에 있는 내 연배들을 생각하면서
다 늦게 무엇 하는 짓인가 하는 후회도 했다.

20대의 팔팔한 미국 아이들과 경쟁하기에는
나는 너무 연로(?)해 있었고
그 덕에 주말도 없이 매일 새벽 한두시까지
그 연구실에서 버틴 끝에 졸업이란 것을 했다.


돌이켜보면 그때 나는 무모했다.

하지만 그때 내린 결정이 내게 남겨준 것은 있다.
그 잘난 석사 학위?
그 것은 종이 한장으로 남았을 뿐, 그보다 더 큰 것은 따로 있다.


첫 학기 첫 시험때 시간이 모자라 답안을 완성하지 못한 뒤
연구실 구석으로 돌아와 억울함에 겨워 찔끔 흘렸던 눈물이 그것이다.

중학생이나 흘릴 법한 눈물을 나이 마흔 셋에 흘렸던 것은
내가 비록 뒤늦게 선택한 길이었지만
그 만큼 절실하게 매달려 있었다는 방증이었기에
내게는 소중하게 남아있는 기억이다.


혹 앞으로도 여전히 지각인생을 살더라도
그런 절실함이 있는 한 후회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

(원래 이 자리에는 이 포스트 주인께서 쓴 자신의 생각이 적혀있었다^^;)

손석희씨

이 시대의 지성이라고 불리우는데 한 점 부끄러움이 없을 것 같은 사람.

고등학생시절 어느 대학 야외에서 강연하시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그 목소리가 어찌나 맑고 카랑카랑하진

"도데체 누구야?"라는 의문이 저절로 들었다.

물론 철없던 고딩이었던 당시 강연따윈 전혀 관심없었고

단지 "아~손석희구나"하고 돌아섰던 기억이 있다

미국으로 건너가기전 MBC저녁뉴스나 좀 하고..

나중에 100분 토론 진행하고..

회사를 다니면서 아침마다 버스에서

"손석희의 시선 집중"를 들었다(물론 어떤 버스는 다른 채널을 틀어놨기 때문에 듣지 못한 날도 허다하지만..^^;;)

그 날카롭고 반듯한 질문과 강단있는 목소리..

누구들 그 사람에게 반하지 않겠느냔 말이지..

마흔셋에 시험을 망쳤다고 연구실 구석에서 훌쩍거리고 있었던

그 사람의 모습을 떠올려 본다.

대선, 탄핵사태, 또 가깝게는 행정수도 이전 문제까지..

그 많은 사건들을 지나쳐 오면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모습을 내비치지 않고

대표적 토론 프로램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 사람이야 말로 진정한 언론인이란 생각을 해본다.

나는 너무 빨리 모든걸 늦었다고 포기하고 있는건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