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멜리 노통 | ![]() |
벨기에 출신의 젊은 작가 아멜리 노통은 1967년 출생으로 외교관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일본, 베이징, 뉴욕, 방글라데시, 보르네오, 라오스 등지에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 25세에 발표한 첫 소설 '살인자의 건강법'으로 천재의 탄생이라는 비평계의 찬사와 10만 부 이상의 판매라는 상업적 성공을 걸머 쥔, 자칭 <글쓰기광>인 그녀의 소설로 '사랑의 파괴' '페플로스' '습격'등이 있고 희곡으로 '불쏘시개'가 있다. 알랭푸르니에 상, 샤르돈 상, 보카시옹 상, 독일 서적상 상, 르네팔레 상, 파리 프르미에르 상을 받았다. 1999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소설 대상을 수상해 유럽 문단의 이목을 집중시킨 '두려움과 떨림'은 일본 사회의 경직성을 고발한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이다.(펀글) |

아멜리 노통저 "살인자의 건강법"
2004년 06월.문학세계사간.
|
지난 칠월초에 이책을 사두고는 오래 오래 쓰다듬기만 하고 있었다.
추리소설성격을 띄고 있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그랬을 것이다.
마르께스를 읽은 이후에 여자작가의 소설도 한번 읽어보자 싶어서
책을 들었는데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을 정도로 푹 빠졌었다.
스피디하게 읽히는 요인도 있었지만
괴팍한 대문호의 정신세계 엿보기와
아멜리에 노통의 현란한 언어구사 내지는 언어유희에 더 재미를 느꼈다.
대문호가 여자들을 경멸하면서 내 뱉는말---가관이다.
"그네들의 사무실 책상서랍엔 매니큐어 잡지 나부랭이만 그득하다오.
여자들은 직장동료들하고 수다를 떨면서 시간을 보낸다오.
연애니 칼로리니 하는 알찬 주제에 대해서 말이오.
그 이야기가 그 이야기지만.
그러다 지겨워 죽을 지경이 되면 상사로 하여금 자기들을 해고하게 만드는 거요."
"입술은 두가지 역할을 하오.
첫째는 말을 관능적인 행위로 만들어 준다오.
입술이 없는 말이란게 어떤 것인지 상상해본 적 있소?
멍청하게 차가운 그 무엇, 뉘앙스 없는 서걱거리는 그 무엇일게요.
꼭 법원 사무관의 말처럼 말이오.
한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입술의 두번째 역할이라오.
말해서는 안 되는 것을 말하지 못하도록 입을 다물게 해준다는 거지.
손 또한 입술을 갖고 있소. 써서는 안되는 것을 쓰지 못하게 방해하는 입술 말이오.
이건 어마어마하게 중요한 역할이오.
글재주와 불알과 자지를 제대로 갖춘 작가들이
말해서는 안되는 것을 말한 탓에 작품을 망치곤 했지."
아멜리 노통
재미있는 작가....
미모에 글을 잘 쓰기까지 한다네.
한여름 무더위쯤은 하룻밤에 날려 버리는
작가의 책갈피에서 잠시 앉았다가 가기.
'The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rd-Boiled Hard Luck (2) | 2004.08.19 |
---|---|
시트콤 '앨리 맥빌' (2003) : You're Still You (0) | 2004.08.17 |
창조적인 사람은... (0) | 2004.08.17 |
Pat metheny-The longest summer (0) | 2004.08.14 |
Marc Chagall (0) | 2004.08.03 |
레옹Leon (0) | 2004.08.02 |